Michal Macku (Czech, B.1963)
Gellage (셀라쥬)
Untitled Gellage No.45 1991
Untitled Gellage No.19 1991
Untitled Gellage No.17 1991
Untitled Gellage No.8 1990
Untitled Gellage No.9 1991
Untitled Gellage No.81 1995
Untitled Gellage No.14 1991
Untitled Gellage No.107 2000
Untitled Gellage No.54 1992
Untitled Gellage No.52 1992
Untitled Gellage No.47 1991
Untitled Gellage No.53 1992
Untitled Gellage No.44 1991
Untitled Gellage No.49 1992
Untitled Gellage No.50 1992
Untitled Gellage No.11 1991
Untitled Gellage No.82 1996
Untitled Gellage No.55 1993
Untitled Gellage No.132 2005
Untitled Gellage No.130 2005
Untitled Gellage No.133 2005
Untitled Gellage No.112 2001
Detail 6
Detail 9
Detail 8
Detail 11
Detail 5
Detail 1
Untitled Carbon Print No.26 2005
Untitled Carbon Print No.32 2005
Untitled Carbon Print No.5 2004
Untitled Carbon Print No.27 2005
Untitled Carbon Print No.25 2005
Untitled Carbon Print No.8 2004
Untitled Carbon Print No.1 2004
Untitled Carbon Print No.38 2005
Untitled Carbon Print No.12 2004
Untitled Carbon Print No.34 2005
Untitled Carbon Print No.4 2004
Untitled Carbon Print No.21 2005
Untitled Carbon Print No.24 2005
Untitled Carbon Print No.6 2004
Untitled Carbon Print No.33 2005
나는 1989에 이미 Gellage를 직접 만들어 나만의 독특한 창작 기법을 선보였다.
이 테크닉은 여러겹의 레이어 (negative)를 이용하여 하나의 완성된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이다.
처음 오리지널 이미지에서 받은 느낌과
이러한 Gellage기법으로 만들어진 이미지 사이에는 완전히 다른 의미와 관계를 보여준다.
나는 이렇게 새롭게 태어나는 이미지의 느낌을 좋아한다.
그것은 처음과는 상당히 다르며 그러면서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
특히 나는 사람의 누드를 이용하는데 (보통은 작가의 셀프 누드)
이때 나의 몸이 새롭게 다른 인간의 몸으로 태어나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낀다.
이는 자신을 통해 남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중요한 관계로 보여지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내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건
Gellage로 완성된 처음의 각각 오리지널 사진들이다.
Michal Macku
Afro Celt Sound System - Seed
'Poto > 美에 反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o Krause / 상실의 시대 (0) | 2010.04.19 |
---|---|
Piotr Kowalik / 斷 (0) | 2010.04.14 |
Michal Macku / Gellage, 1 (0) | 2010.04.11 |
Alvin Booth / Corpus (0) | 2010.04.10 |
Misha Godin / Doubt (0) | 2010.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