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詩/글 나들이

이 상 / 각혈의 아침

by 알려하지마 2010. 4. 28.

 

 

 

 

 

Frederic Gaillard  /  이 상 - 각혈의 아침

 

 

 

 

 

 

 

 

사과는 깨끗하고 또 춥고 해서 사과를 먹으면 시려워진다
어째서 그렇게 냉랭한지 책상위에서 하루 종일 색깔을 변치 아니한다
차차로-- 둘이 다 시들어 간다

 

 

 

 

 

 

 

 

먼 사람이 그대로 커다랗다 아니 가까운 사람이 그대로 자그마하다
아니 어느 쪽도 아니다 나는 그 어느 누구와도 알지 못하니 말이다
아니 그들의 어느 하나도 나를 알지 못하니 말이다
아니 그 어느쪽도 아니다(레일을 타면 전차는 어디라도 갈수있다)

 

 

 

 

 

 

 

 

담배연기의 한 무더기 그 실내에서 나는 긋지 아니한 성냥을 몇개비고
부러뜨렸다. 그 실내의 연기의 한 무더기 점화되어 나만 남기고
잘도 타나 보다 잉크는 축축하다 연필로 아무렇게나 시커먼 면을 그리면
연필은 종이 위에 흩어진다

 

 

 

 

 

 

 

 

레코오드 고랑을 사람이 달린다 거꾸로 달리는 불행한 사람은
나 같기도 하다 멀어지는 음악 소리를 바쁘게 듣고 있나 보다
발을 덮는 여자 구두가 가래를 밟는다 땅에서 빈곤이 묻어 온다
받아 써서 통념해야 할 암호 쓸쓸한 초롱불과 우체통 사람들이
수명을 거느리고 멀어져 가는 것이 보인다 그리고 나의 뱃속엔
통신이 잠겨 있다
새장속에서 지저귀는 새 나는 코 속 털을 잡아 뽑는다
밤 소란한 정적 속에서 미래에 실린 기억이 종이처럼 뒤엎어진다
벌써 나는 내 몸을 볼 수 없다 푸른 하늘이 새장 속에 있는 것 같이
멀리서 가위가 손가락을 연신 연방 잘라간다
검고 가느다란 무게가 내 눈구멍에 넘쳐왔는데 나는 그림자와 서로
껴안는 나의 몸뚱이를 똑똑히 볼 수 있었다
알맹이까지 빨간 사과가 먹고 싶다는 둥
피가 물들기 때문에 여윈다는 말을 듣곤 먹지 않았던 일이며
나를 놀라게 한 것은 그 종자는 이제 심어도 나지 않는다고
단정케 하는 사과 겉껍질의 빨간색 그것이다
공기마저 얼어서 나를 못 통하게 한다 뜰을 주형처럼 한장 한장
떠낼 수 있을것 같다
나의 호흡에 탄환을 쏘아 넣는 놈이 있다
병석에 나는 조심조심 조용히 누워 있노라니까 뜰에 바람이 불어서
무엇인가 떼굴떼굴 굴려지고 있는 그런 낌새가 보였다
별이 흔들린다 나의 기억의 순서가 흔들리듯
어릴적 사진에서 스스로 병을 진단한다

 

 

 

 

 

 

 

 

가브리엘 천사균(내가 가장 불세출의 그리스도라 치고)
이 살균제는 마침내 폐결핵의 혈담이었다(고?)
폐 속 페인트칠한 십자가가 날이면 날마다 발돋움을 한다
폐 속엔 요리사 천사가 있어서 때때로 소변을 본단 말이다
나에 대해 달력의 숫자는 차츰차츰 줄어든다

 

 

 

 

 

 

 

 

네온사인은 색스폰같이 야위었다
그리고 나의 정맥은 휘파람같이 야위었다
하얀 천사가 나의 폐에 가벼이 노크한다
황혼같은 폐 속에서는 고요히 물이 끓고 있다
고무 전선을 끌어다가 성 베드로가 도청을 한다
그리곤 세 번이나 천사를 보고 나는 모른다고 한다
그 때 닭이 홰를 친다 -- 어엇 끓는 물을 엎지르면 야단 야단 --

 

 

 

 

 

 

 

 

 

봄이 와서 따스한 건 지구의 아궁이에 불을 지폈기 때문이다
모두가 끓어오른다 아지랭이처럼
나만이 사금파리 모양 남는다
나무들조차 끓어서 푸른 거품을 자꾸 뿜어 내고 있는데도.

 

 

 

이 상 / 각혈의 아침

 

 

 

 

 

 

 

 

 

 

 

 

 

 

 

 

 

 

 

 

 

 

 


           

 

Concha Buika & Chucho Valdes - Soledad           

 

 

 

 

 

 

 

 

' > 글 나들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 승자 / 문턱에서 문턱으로  (0) 2010.05.05
김 선우 / 도화 아래 잠들다  (0) 2010.05.04
은 희경 / 타인에게 말걸기 中에서  (0) 2010.04.13
이 수명 / 나는 구부렸다   (0) 2010.03.20
김 중식 / 모과   (0) 2010.03.11